실로암복지관 전자도서제작 1
동영상교육
시각장애 이해교육
1강 오리엔테이션
My pick 전자도서 제작방법
시각장애인용 전자도서인 데이지(DAISY)란?
Digtal Accessible Infomation SYstem
시각쟁애인 및 독서장애인 전용 전자도서를 일컫는 말
전자도서 제작 과정
의뢰도서 신청 및 선정
>>
전자도서 제작 [마이픽 입력자원봉사]
>>
전자도서 검수 [마이픽 검수자원봉사]
>>
파일변환
>>
전자도서 업로드
>>
시각 장애인 도서이용
아이프리 전자 도서관이란?
아이프리 전자도서관은 실로암장애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시각장애인 전용 전자도서관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자도서를 소장하고 있어
시각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도서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완성한 전자도서를 시각장애인들은 어떻게 활용할까요?
2.실로암 시각장애인 복지관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실로암 포네
Lux Daisy
2강 전자도서 제작방법
-기본 규칙
-오탈자 수정
-목차 편집/ 목차스타일지정
-페이지번호 입력
- 빈 면 처리
-기본규칙
전자도서 제작은 기본적으로 원본도서를 보고 편집화면에다 제작 규칙에 맞게 수정, 편집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몇 가지 기본 규칙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도서에는 장식적 요소, 공간배치를 위해 빈줄이나 빈칸, 장식기호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시각장애인용 전자도서에서는 이런 시각적 요소를 위한 규칙안내
1. 빈칸, 빈줄, 장식기호는 삭제합니다.
예시
머 ∨ ∨리 ∨ ∨말 >>>>>>> 머리말
2.성과 이름 사이에도 빈칸이 있는데 이것도 삭제합니다
예시
홍∨길동 >>>>>>> 홍길동
이∨황 >>>>>> 이황
3.문제의 답을 쓰는 부분에 여백이 많이 있는데, 전자도서 제작에서는, 문제의 답을 쓰는 칸이 있다는 것만 보여주면 되므로,
괄호 사이에 빈칸 하나만 입력합니다.
예시
다음 문장을 작문하시오.
( ∨ ∨ ∨ ∨ ∨ ∨ ∨)
>>>>>>
다음 문장을 작문하시오.
( ∨)
4. 년 월 일 사이에도 각각 빈칸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임의로 하이픈 또는 언더바로 빈칸임을 표시해줍니다.
예시
∨ ∨년 ∨ ∨월 ∨ ∨일 >>>> __년 __월__일
5. '누구누구에게'에서 사람 이름 쓰는 부분도 원본에는 빈칸으로 되어 있지만,
전자도서 제작에서는 빈칸이 있음을 표시하는 하이픈 2개를 입력해줍니다.
예시
________에게 >>>> --에게
6. 예시에 차례를 보면 차례 양 옆에 장식기호가 들어가있죠, 이런 장식기호는 의미상 필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삭제합니다.
예시
◆차례◆ >>> 차례
7. 의미없는 빈줄이 있을 경우에도 , 모두 삭제합니다.
예시
1.메뉴얼
∨
∨
1)메뉴얼의 정의
>>>>
1. 메뉴얼
1) 메뉴얼의 정의
8. 일반적으로 글을 쓸 때 문단 처음에 한칸 또는 두칸 들여쓰기를 하는데요. 하지만 전자도서에서는 들여쓰기를 하지 않고,
첫칸부터 바로 내용을 입력합니다.
∨ ∨"그거야 아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지 않은가?"
∨ ∨다시 가시방이 시무룩한 표정으로 말했다.
>>>>>
"그거야 아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지 않은가?"
다시 가시방이 시무룩한 표정으로 말했다.
9. 따옴표는 반드시 한글따옴표로 입력해야 합니다.
영문따옴표와 한글따옴표의 모양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계신가요?
한글 따옴표는 이렇게 콩나물처럼 통통한 모양으로 열고 닫는 모양이 따로 있고요.
그에 반해 영문따옴표는 이렇게 직선으로 되어 있고, 열고 닫는 모양도 동일합니다.
영문따옴표 " " , ' '
한글따옴표 “”, ‘ ’
**원본도서에서 어떤 모양의 따옴표가 나오든, 제작할 때는 무조건 한글따옴표로 사용해야 하지만,
다음 예시와 같이 생략된 글자나 숫자를 대신하는 아포스토피는 영문 따옴표를 사용해야 합니다.
‘88 서울 올림픽
I’m a student.
>>>>>
' 88 서울 올림픽
I 'm a student.
**사용방법 : 먼저, 영문 따옴표는 평소 쓰던대로 자판의 따옴표키를 누르면 됩니다.
하지만 한글 따옴표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별도의 단축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여는 작은따옴표는 ctrl + 따옴표, 닫는 따옴표는 alt+따옴표,
여는 큰따옴표는 ctrl+shift+따옴표, 닫는 큰따옴표는 alt+shift+따옴표
특수문자가 나왔을 경우, 자판에 있는 기호는 자판으로 입력하고,
자판에 없는 특수문자는, 별도의 특수문자표에서 찾아 입력합니다.